인생2막 책쓰기 Part114 막히지 않게 글을 써야 한다 막히지 않게 글을 써야 한다 글을 쓸 때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 가장 어려운 것은 막히지 않게 쓰는 것입니다. 나 역시 글을 쓸 때 중간에서 막히거나 서두에서 막혀버리면 글쓰기를 포기하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실제로도 많이 포기를 했습니다. 이런 현상이 계속되자 내 글쓰기 능력이 부족해서 그런 것이 아닌가 하는 자괴감도 들었습니다. 막히지 않고 글을 잘 쓰려면 글쓰기 능력도 중요하지만 이것은 글 한 편을 쓸 때 차지하는 비율이 채 10%도 되지 않습니다. 글쓰기 능력보다 더 크게 작용하는 요소가 있습니다. 내가 어떤 소재로 글을 썼을 때 막히지 않고 쓸 수 있는지를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 글의 소재를 잘못 선정하면 글쓰기가 어려워집니다. 이것은 학창 시절 선생님께서 숙제를 내 줄.. 2023. 3. 20. 글은 생각나는 대로 쓰는 것이다 글은 생각나는 대로 쓰는 것이다 책 쓰기는 넓게 보면 글을 쓰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책은 여러 편의 글을 모아서 엮은 것입니다. 물론 책으로 엮으려면 같은 소재, 같은 주제의 글을 모아서 엮어야 합니다. 이 말은 책 쓰기는 글쓰기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책 쓰기 강좌를 하면 받는 질문 중 하나가 글을 잘 쓰는 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좋은 책은 기본적으로 좋은 글에서 나옵니다. 그리고 좋은 글은 독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글입니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의아해할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은 좋은 글이라고 하면 전문용어를 많이 쓴 글이라 생각하는 데 그렇지 않습니다. 좋은 글은 독자들, 특히 나와 같은 전공자가 아닌 사람들이 이해하기 쉬운 글입니다. 왜 그럴까요? 기본적으로 글이나 책은 전공 서적이나 논문이 아.. 2023. 3. 7. 글쓰기 능력과 책 쓰기의 관계 글쓰기 능력과 책 쓰기의 관계 책을 쓰고 싶다는 생각은 하지만 이를 실행으로 옮기는 사람이 적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가장 큰 이유가 바로 ‘글쓰기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글쓰기 능력이 부족해서 내 책을 읽는 사람들에 대한 반응, 특히 부정적인 반응 때문에 책 쓰기를 주저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책을 쓰는 데 있어 글쓰기 능력은 중요한 요소인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것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바로 글쓰기 능력은 타고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글쓰기 능력을 타고나는 사람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작가들 중 이들의 비중은 전체의 1%도 되지 않습니다. 대부분은 후천적인 노력에 의해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켰습니다 나 역시도 마찬가지입니다. 내 첫 .. 2023. 2. 13. 독자에게 하고 싶은 말은 어떻게 써야 할까? 독자에게 하고 싶은 말은 어떻게 써야 할까? 책을 쓸 때 가장 많이 고민하는 것이 ‘독자에게 전하는 말을 어떻게 쓰느냐’ 일 것입니다. 내 책의 독자층을 좁혔어도 불특정 다수입니다. 아무리 나와 비슷한 나이를 가진 사람을 타깃으로 했다 하더라도 내가 아는 사람보다 모르는 사람이 더 많습니다. 예를 들어 수능 응시생 30만 명 중 내가 아는 사람은 채 1%도 되지 않습니다. 이것은 내 책을 읽는 독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대부분의 독자는 작가인 나에 대해 잘 모르고, 나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쉬운 말로 표현해야 하는 것입니다. 독자에게 전하는 메시지는 내 나이와 비슷한 나이대에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책이라면 쓰는 데 큰 어려움은 없습니다. 나이대가 비슷한 사람은 비슷한 나.. 2023. 2. 7.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