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쓰기 기초 - 글쓰기73

글을 직접 써야 하는 이유 글을 직접 써야 하는 이유 Chat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가 등장한 이후 AI가 글을 써 주는 시대가 되었고, 굳이 직접 글을 쓰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글 쓰기를 배우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할까? 이런 부분은 인공지능이 가진 태생적 한계와도 관련이 있다. ChatGPT 등장 이후 글 한 편을 쓰는 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특히 본문을 작성하기 전 큰 틀을 작성할 때 시간이 오래 걸리는 데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으면 이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나 역시 글의 큰 틀을 잡을 때, 특히 책을 쓸 때 목차를 정할 때 도움을 받는데 내가 직접 하는 것보다 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다. 이것은 분명한 장점이다. 하지만 본문 작.. 2024. 3. 28.
내 글은 내가 가장 잘 이해해야 한다 내 글은 내가 가장 잘 이해해야 한다 글은 일기를 제외한다면 읽는 사람이 상대방이다. 이 말은 내가 내 글을 상대방에게 말로 설명을 해야 할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즉, 내 글에 대한 질문을 다른 사람에게 답변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는 것이다. 입사지원서를 쓸 때 자기소개서가 들어가는데, 면접을 볼 때 자기소개서를 토대로 면접관이 질문을 하고 내가 답변을 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입사를 하면 사업계획서를 작성 후, 설명하고, 이에 대한 질문을 받고 답변을 해야 할 때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답변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 가장 중요한 것이 내가 직접 글을 쓰는 것이다. 내가 직접 쓴 글은 굳이 힘들게 외우려고 하지 않아도 글을 쓸 당시 수없이 생각하고 고쳐 썼기 때문에.. 2024. 3. 22.
글을 쓰는 목적이 무엇인가요? 글을 쓰는 목적이 무엇인가요? 우리가 여행을 하는 것도 목적이 있고, 직장생활을 하는 것도 목적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글을 쓰는 것도 목적이 있다. 여행을 하는 목적, 직장생활을 하는 목적에 대해서 질문을 하면 어렵지 않게 답을 한다. 하지만 글을 쓰는 목적에 대해서 질문읋 하면 명확하게 답을 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것은 ‘왜 글을 쓰는지’에 대해서 깊이 생각하는 방법을 배우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글을 쓰는 목적은 무엇일까? 우리가 글을 쓴다면 간단한 제품 후기, 책에 대한 리뷰부터, 일기, 자기소개서, 보고서, 책까지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이 중 일기를 제외한다면 예외 없이 읽는 사람이 내가 아닌 상대방이라는 것이다. 내 글을 상대방이 읽는다는 것은 다르게 말하면 상대를 이해시키거나 .. 2024. 3. 19.
글을 쓸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글을 쓸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글을 쓸 때 고려해야 하는 요소는 많고, 어느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을 꼽으라고 하면 독자의 입장에서 써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쓰는 글은 일기를 제외하면 읽는 사람이 내가 아닌 상대방이다. 읽는 사람은 기안서, 보고서, 논문 등 특정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다. 특히나 책을 쓴다고 하면 예외 없이 읽는 사람이 불특정 다수일 수밖에 없다. 독자가 불특정 다수라는 것은 내 전공과 같거나 비슷한 사람보다 그렇지 않은 사람이 훨씬 많다는 것이고, 이들 입장에서 글을 써야 한다는 것이다. 내 책 [누구도 알려주지 않는 인공지능 이야기]를 예로 든다면 인공지능에 대해서 해박한 지식을 가진 사람보다 그렇지.. 2024. 3. 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