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쓰기 중급

공감하는 글을 쓰기 위해서는?

by Andres8 2024. 1. 17.
반응형

공감하는 글을 쓰기 위해서는?

가장 읽기 좋은 글은 읽는 사람이 공감을 잘하는 글이다. 물론 모든 사람이 공감하는 글은 쓸 수도 없거니와 존재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내가 타깃으로 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공감하는 글은 얼마든지 쓸 수 있다.

글을 읽고 공감하는 것은 나와 읽는 사람이 공감 코드를 공유할 때 비로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말은 나와 글을 읽는 사람이 공통적인 공감 코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공통적인 공감 코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공통적인 공감 코드를 만족하는 조건이 존재한다.

첫 번째는 나와 읽는 사람이 나이대가 비슷하고, 자란 곳이 같은 경우다. 나이대가 비슷하고 자란 곳이 비슷하면 그 당시의 큰 사회적 이슈나 사건을 눈으로 보고 경험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우리가 고향이 같으면 통할 확률이 있다고 하는 것이 그것이다. 여기에다 다닌 학교가 같다면 여기서도 공통적인 공감코드가 나올 수 있다. 우리가 초, 중, 고 시절 친구와 만나서 그 시절을 이야기하면 공감하고 서로의 이야기에 맞장구치는 경우가 바로 여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반응형


두 번째는 비슷한 환경에서 역사적 상황을 맞았던 경험이 있는 경우다. 내 경우 1997년 11월 22일, 98학년도 수능이 끝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 정부에서 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한 뉴스를 접했다. 게다가 이전에는 대학교만 졸업하면 취업이 잘 되던 시기에서 ‘취업난’이라는 말이 본격적으로 나왔던 시대다. 이 시대를 겪은 나와 비슷한 나이대에 있는 사람은 그때의 기억이 생생해서 이야기하다 보면 공감할 수 있는 것이다.

나처럼 2002년 당시 대학교에 다닌 사람이라면 그해 6월 열렸던 2002한일월드컵 때 길거리 응원을 한 기억이 있다. 여기에 대한민국대표팀이 조 1위로 16강에 갈지 2위로 갈지에 따라 기말고사 시험 날짜 조정으로 교수님과 의견 교환을 한 기억도 있다. 나 역시 ‘선형대수학’ 기말고사를 6월 17일에 7시에 예정되어 있엇지만 교수님께서 조 2위로 16강에 갈 것 같아도 해서 18일 7시로 변경을 했었다. 다들 알다시피 조 1위로 16강에 올라가면서 기말고사 문제를 쉽게 내기도 했다. (중간고사가 어려웠기 때문에 여기서 학점이 갈려서 기말고사를 쉽게 출제해도 문제 될 건 없었다) 당시 탈리아와 16강전이 8시 30분에 예정되어 있었다. 이런 것은 같이 시험을 봣던 사람들은 정확히 기억하고 있고, 이 이야기에 공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이야기할 때뿐만 아니라 글을 쓸 때도 마찬가지다. 글도 말처럼 나와 상대가 소통을 하는 것이다. 음성으로 소통을 하느냐 문자로 소통을 하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 목적은 같다. 글로 소통을 하려면 글에 나와 읽는 사람이 공감을 해야 되고, 여기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 바로 공감 코드다. 글에 공감코드를 넗으면 상대가 공감할 수 있고, 나아가서 내가 원하는 것을 얻을 확률이 높아진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