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쓰기 중급

‘글쓰기’에 대한 고민

by Andres8 2022. 9. 23.
반응형

‘글쓰기’에 대한 고민

 

글을 많이 써 본 사람도, 글을 쓰기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사람도 고민을 하는 것이 ‘어떻게 하면 좋은 글을 쓰느냐’인 것입니다. 이 말은 글을 쓰는 사람이라면 좋은 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한다는 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좋은 글을 쓸 수 있을까요?

 

내가 쓴 글이 좋은 글이 되기 위해서는 글의 소재가 가장 중요합니다. 글의 소재도 나와 궁합이 맞는 것이 존재합니다. 톱클래스 운동선수가 팀과 궁합이 잘 맞아야 최상의 기량을 발휘하는 것과 같습니다. 아무리 뛰어난 운동선수라도 속한 팀이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과 맞지 않으면 제대로 된 기량을 발휘할 수 없습니다. 글도 마찬가지입니다.

 

글의 소재가 아무리 요즘의 트랜드라 하더라도 나와 맞지 않으면 좋은 글을 쓸 수 없습니다. 요즘은 인공지능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 인공지능에 관한 글을 쓰려고 하면 이에 대한 지식이 많이 있어야 합니다.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좋은 글을 쓸 수도 없을뿐더러 아예 쓰지도 못합니다.

 

인공지능에 관한 글을 쓰려면 우선 내가 인공지능에 관심이 있고, 이에 관한 지식도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최신 인공지능 제품에 관해서 이야기 할 수 있고, 영화 속에서 볼 수 있는 감정을 가지는 인공지능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이런 글을 쓰기 위해서는 내가 해당 분야에 대해서 관심이 있고, 배경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즉, 아무리 글쓰기 능력이 뛰어나다고 하더라도 해당 분야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절대 좋은 글을 쓸 수가 없는 것입니다.

 

글쓰기 능력을 돋보이게 하는 것이 배경지식이지, 그 반대는 아닙니다. 그렇기에 해당 분야에 대한 관심과 지식이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해당 분야에 대한 지식과 관심이 있다는 것은 전문용어를 쉽게 풀어쓸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전문 용어를 쉽게 풀어쓰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완벽히 알아야 되는데, 이는 전문 지식이 없으면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전문용어를 쉽게 풀어 써야 하는 이유는 논문이나 전문 서적을 위한 글이 아닌 이상 비전공자가 많기 때문입니다. 즉, 나만의 언어를 통해서 전문용어를 전달할 수 있어야 그것이 비로소 글쓰기 능력과 만날 때 좋은 글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이것은 비단 내 전공 분야뿐만 아니라 내가 취미로 하는 분야도 마찬가지입니다. 해당 분야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있어야 독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내가 취미로 하는 분야는 그만큼 이에 대한 경험이 많다는 것입니다. 경험에서 나오는 이야기를 문자로 표현하면 좋은 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경험이 많기에 여러 개의 글을 쓰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글쓰기 능력이 뒷받침되면 좋습니다.

내가 취미로 드론을 날리면 드론을 날리기 위해서 관련 자격증이 있어야 하고, 이에 대해 공부도 해야 하기에 배경지식을 쌓아야만 합니다. 게다가 드론은 특성상 조종을 많이 해야 안전하게 비행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것이 없다면 드론에 관해서 제대로 된 글을 쓸 수 없는 것입니다.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 소재를 정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글에 내 이야기가 들어가야 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글에는 내 이야기가 들어가 있습니다. 이것은 일반 책뿐만 아니라 논문도 마찬가지입니다. 내가 연구한 것, 내가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논문을 작성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유물 발굴과정처럼 직접 드러날 수도 있고, 수학 공식이나 난제를 증명하는 것처럼 간접적으로 드러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차이가 있지만 논문에도 기본적으로 내 이야기가 들어갑니다. 논문은 내 이야기가 없으면 내가 쓴 논문이 될 수 없기에 반드시 내 이야기가 들어갑니다. 이것은 일반적인 글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반적인 글에서 내 이야기는 내 생각, 내 느낌입니다. 지난 2002년 월드컵 당시 광화문광장에서 같이 모여 응원을 한 경험은 많은 사람이 가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느낌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즉, 내 생각이나 느낌이 들어가야 그 경험이 비로소 내 것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내 이야기를 쓸 때는 내 생각, 내 느낌이 들어가야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비단 직접경험뿐만 아니라 간접경험도 마찬가지입니다. 독서토론을 하면 같은 책을 읽고 토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김훈의 <하얼빈>을 읽었다는 것은 일반적이고, 이것만으로 내 이야기라고 할 수 없습니다. <하얼빈>을 읽고 난 후의 느낌과 내 생각이 들어가야 비로소 이것이 내 것이 됩니다. 이것을 ‘간접경험의 직접경험화’라고 하는 것입니다. 

 

책을 읽고 난 후의 내 생각과 느낌이 들어가지 않는 글은 내 글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글을 쓸 때 다른 작가의 책의 내용을 인용하는 경우는 흔하게 있습니다. 다른 작가의 책 내용을 인용하는 경우는 내 생각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하게 인용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내 생각, 내 경험이 들어가야 하는 것입니다.

 

내가 쓴 글은 내 이야기가 들어가야 합니다. 특히 책을 쓰기 위한 글이라면 더더욱 내 이야기가 들어가야 하는 것입니다. 내 이야기는 직접경험에 의한 것과 간접경험에 의한 것 두 가지가 있습니다. 직접경험이든 간접경험이든 내가 한 경험은 누구보다 내가 생생하고 쉽게 전달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직접경험과 간접경험 모두 내 느낌과 내 생각이 들어가야 합니다. 즉, 글을 쓸 때 반드시 내 이야기가 들어가야 하는 것입니다.

 

좋은 소재, 내 이야기가 있어야 빛이 나는 것이 ‘글쓰기 능력’입니다. 아무리 글쓰기 능력이 뛰어나다 하더라도 글의 소재가 나와 맞지 않고, 내 이야기가 들어가 있지 않으면 절대 좋을 글이 나올 수 없는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